만들기도 한다의사
만들기도 한다의사 소통세포 구조든 분자 구조든 모든 구조는 이웃한 구조와 메시지를 교환한다 그럼으로써 당면한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다우리 세포는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과 끊임없이 마주친다 세포들이 혈액을 통해 그 미생물의 정체와 그것들에 저항하는 방식을 전달해 주지만 우리 뇌는 세포가 참여하는 그 거대한 대화 체계를 의식하지 못한다 세포의 방어 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도 세포의 그런 소우주적 행위를 연구하지 않는다 우리 과학자들은 기능하지 않는 것을 연구할 뿐 기능하는 것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이종 교배개미 둥지에 다른 종이 섞여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개미는 저마다 자기 도시의 고유한 냄새를 가지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인간 세계에서 볼 수 있는 것만큼 그렇게 lt배타적인gt 모습을 보이지는 않는다예를 들어 흙을 채운 어항에 불개미 1백 마리와 검은 목축개미 1백 마리를 함께 넣으면 어떻게 될까 두 종 모두에 알 낳는 여왕개미 한 마리씩을 포함시켜 말이다 그러면 우선 몇 차례의 작은 충돌이 일어난다 그러나 사망자가 생길 정도의 충돌은 아니다 그 후에는 더듬이를 맞대고 긴 토론을 벌이고 나서 함께 개미 둥지를 건설해 나가기 시작한다어떤 통로는 불개미의 체구에 알맞게 되어 있고 어떤 것은 검은 목축개미에 알맞게 되어 있다 그러나 그들은 그것에 그치지 않고 다른 종과 교배를 해서 서로 섞인다 이상의 관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이 분명해진다 즉 개미 세계에서는 지배적인 위치에 있는 어떤 종이 도시 안에 게토와 같은 보호구역을 만들어 다른 종을 격리시키는 일 없다는 것이다인디언의 곰 덫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아주 원시적인 형태의 곰 덫을 사용한다 그것은 커다란 돌덩이에 꿀을 바르고 나뭇가지에 밧줄로 매달아 놓은 것이다 그것을 발견한 곰은 먹음직스러운 먹이로 생각하고 다가와 발길질을 하면서 돌덩이를 잡으려고 한다 그러면 돌덩이가 진자 운동을 한다 앞으로 밀려갔던 돌덩이가 뒤로 되돌아올 때마다 곰을 때린다 곰은 화가 나서 점점 더 세게 돌덩이를 때린다 곰이 돌덩이를 더 세게 치면 칠수록 돌덩이는 더 큰 반동으로 곰을 후려친다 마침내 곰은 나가떨어진다곰은 lt이 폭력의 악순환을 중단시킬 방법이 없을까gt라는 생각을 할 줄 모른다 그저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더욱 안달을 할 뿐
댓글
댓글 쓰기